HTTP Request는 보이지 않지만 모든 줄이 \r\n으로 개행처리가 되어있다.
\r\n 은 CRLF라고도 하며 윈도우/DOS 표준의 줄바꿈으로 정의되어 있기도 하다.
CR: Carriage return - 커서의 위치를 맨 앞으로 이동 (\r)
LF : Line Feed - 현재 위치에서 바로 아래로 이동 (\n)
- 이 두가지를 합쳐서 CRLF라고 부른다.
- 즉 CRLF는 다음줄로 이동하고 동시에 커서의 위치를 맨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다.
운영체제별 줄바꿈 정의
윈도우/DOS : CRLF 조합으로 줄바꿈을 정의
Unix/Linux/C : LF 만으로 줄바꿈을 정의
- 윈도우 방식은 개행이 일어나면 다음줄의 맨 앞으로 이동하고, Unix/Linux/C는 다음줄로만 이동한다.
REF
'웹개발 > 웹개발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pm ERR! code ENOSPC 오류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(0) | 2021.11.29 |
---|---|
[web server] 토막 상식 : GET과 POST에서 패러미터 넘겨주기 - 쿼리스트링, Content-Type (0) | 2021.06.18 |
[web server] HTTP 요청(1) - 웹서버와 HTTP, HTTP 메시지 (0) | 2021.06.09 |
로그인 API 연동하기 - Oauth 2.0과 Access Token이란? (0) | 2021.06.07 |